본문 바로가기
일생생활 꿀팁

자동차세 연납으로 절세하는 꿀팁! 언제, 어떻게 해야 할까?

by journal3161 2025. 5. 8.
반응형

 

🚗 자동차세 연납이란?

자동차세 연납은 매년 6월과 12월에 나눠 납부하는 자동차세를 한 번에 미리 납부하고, 그에 따른 할인 혜택을 받는 제도입니다. 이를 통해 세금 부담을 줄이고, 납부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.


📅 2025년 연납 신청 기간 및 할인율

2025년 자동차세 연납 신청은 다음과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:

신청 기간적용 기간할인율

 

1월 16일 ~ 1월 31일 2월 ~ 12월 약 4.58%
3월 16일 ~ 3월 31일 4월 ~ 12월 약 3.76%
6월 16일 ~ 6월 30일 7월 ~ 12월 약 2.52%
9월 16일 ~ 9월 30일 10월 ~ 12월 약 1.25%
 

가장 높은 할인율을 받으려면 1월에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
📝 연납 신청 방법

1. 온라인 신청

  • 위택스(Wetax): 대부분의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며, 회원가입 후 '자동차세 연납 신청' 메뉴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.
  • 이택스(ETAX): 서울시 거주자는 이택스를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.

2. 전화 신청

거주지 관할 시·군·구청 세무과에 전화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3. 방문 신청

관할 시·군·구청 민원실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할 수 있으며, 신분증과 차량 등록증을 지참해야 합니다.

1️⃣ 온라인 신청 (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)

✅ 위택스(Wetax) – 전국 공통 (서울 제외)

신청 절차:

  1. 위택스 홈페이지 접속
  2. 회원가입 또는 비회원 로그인 (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가능)
  3. 상단 메뉴에서 [세금납부] → [자동차세] → [연납신청] 클릭
  4. 본인 차량 정보 확인 후 신청 버튼 클릭
  5. 할인 적용된 금액 확인 → 납부 방법 선택 (카드/계좌이체 등)
  6. 납부 완료 후 납부내역은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
주의사항:

  • 신청 후 바로 납부하지 않으면 신청이 무효 처리될 수 있으므로, 신청 직후 납부를 추천드립니다.

✅ 이택스(ETAX) – 서울시 거주자 전용

신청 절차:

  1. 서울시 이택스 홈페이지 접속
  2.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로 로그인
  3. [자동차세 → 연세액 납부 신청] 메뉴 클릭
  4. 차량 정보 확인 후 신청
  5. 납부금액 확인 → 결제

팁: 서울시는 이택스를 통해서만 신청이 가능하며, 위택스에서는 불가합니다.


2️⃣ 전화 신청 (비대면 방식)

방법:

  • 거주지 관할 시·군·구청 세무과에 전화하여 연납 신청 의사를 밝히면 담당 공무원이 신청을 도와줍니다.
  • 전화 후 문자나 고지서를 통해 납부 링크를 전송받아 납부 가능.

필요 정보:

  • 차량 번호
  • 주민등록번호 또는 사업자번호

이점: 공인인증서 사용이 어렵거나 고령자에게 유용함.


3️⃣ 방문 신청 (직접 방문 방식)

방법:

  • 거주지 관할 시청, 구청 또는 군청의 세무과 민원실에 직접 방문하여 신청
  • 신청서 작성 후 안내에 따라 납부 진행

지참 서류:

  • 신분증
  • 차량 등록증 (필요 시)

팁: 공공기관 운영 시간(09:00~18:00)을 고려하여 방문하세요.


⚠️ 유의사항

  • 매년 신청 필요: 연납 신청은 자동 갱신되지 않으므로, 매년 신청해야 합니다.
  • 환불 가능: 연납 후 차량을 매도하거나 폐차하는 경우, 사용하지 않은 기간에 대한 세금은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.
  • 납부 기한 준수: 신청 후 지정된 기간 내에 납부하지 않으면 할인 혜택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.

✅ 결론

자동차세 연납 제도는 세금 부담을 줄이고 납부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입니다. 특히 1월에 신청하면 가장 높은 할인율을 받을 수 있으므로, 이 기간을 놓치지 마시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


참고: 위택스(www.wetax.go.kr), 이택스(etax.seoul.go.kr)

반응형